북한이탈주민들이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에 속아 북한으로 가 수십년 동안 인권 침해를 당했다며 북한 정권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앞서 북한을 상대로 한 소송에서 공시송달로 처리해온 것과 달리 이번 소송에선 송달장소를 미국 뉴욕의 북한 유엔대표부 주소로 최초 명시했습니다. 더보기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당선이 무효가 됐을 때 선거보전금을 반환하도록 한 공직선거법 조항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나왔습니다. 헌재는 선거범죄를 저지른 사람의 재산권보다 선거의 공정성 확보라는 공익이 크다고 판단한 2011년 헌재 결정을 선례로 들었습니다. 더보기
지난 10년 동안 성범죄 사건이 계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소 전에 피해자와 합의하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변호사가 나오는 등 성범죄 전문 로펌들이 특수를 누리고 있다는 말이 나옵니다. 2018년 대법원이 '성인지 감수성' 판결(주심 박정화 전 대법관)을 선고한 지 6년 만에 성범죄 피해자 진술의 증명력에 대한 해석을 제한한 대법원 판결(주심 천대엽 대법관)이 나온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더보기
미국의 한 일간지가 2010년 보스턴법원 형사판결문 1500건을 분석했는데 판사가 직접 선고한 재판은 무죄율이 82%, 배심재판은 51%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연구한 결과, 판사들이 검찰 불신과 견제 심리 때문에 무죄를 남발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보스턴법원은 뒤늦게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했죠. 윤재윤 변호사가 이런 사례들과 함께 재판의 불안정성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전합니다. 더보기
채다은 변호사는 서류를 정리하다 문득 한 가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공소장, 소환장, 심지어 국민참여재판 배제 결정문까지 다 보내주는데 왜 (형사재판의) ‘판결문’은 선고 후 직접 신청해야만 받을 수 있는 걸까?'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형사재판 판결서를 송달해줘야 하는 이유를 채 변호사가 생각해봤습니다. 더보기